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3년 가구 인원별 100% 150% 180% 중위소득

반응형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각종 혜택,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내 소득 수준이 어디에 해당하는지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정부지원금, 청년지원금 등 다양한 명목으로 정책이 발표되는데 내용을 살펴보면 늘 등장하는 "중위소득"이라는 것이 있는데요.



가구에 속하는 인원수에 따라 차이가 있고, 중위소득의 80% 100% 150% 180% 등으로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아 헷갈릴 수 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각 가구인원에 따른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내 중위소득은 어디에 속하는 것인지 알기 쉽게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중위소득

e-나라지표

 

가구 중위소득은 가구 단위의 소득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인데요. 중위가구에 해당하는 가구의 생활 수준이 어떤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가구마다 1인, 4인, 6인 등 인원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요. 

 

 

제가 속하는 1인가구의 2023년 중위소득은 207.8만원입니다. 4인가구에 해당하신다면 540.1만원이라고 보시면 되겠는데요. 연봉과 실수령액은 세금때문에 차이가 있는데 위에 나타나 있는 중위소득은 세금을 떼고 받은 실수령액을 기준으로 살펴보시면 됩니다. 

 

 

[2023년 중위소득 100%]

1인가구 207.8만원
2인가구 345.6만원
3인가구 443.5만원
4인가구 540.1만원
5인가구 633.1만원
6인가구 722.8만원

 

 

 

 

생계급여, 의료급여 등 정부지원 받을 수 있는 중위소득 기준

위에서 중위소득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알아보았는데요. 정부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각각의 중위소득 퍼센티지에 맞는 가구 소득을 충족해야 합니다. 생계급여는 30%, 의료급여는 40%, 주거급여는 47%, 교육급여는 50%에 해당해야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래요. 

 

 

[생계급여/중위소득 30%]

1인가구 62.3만원
2인가구 103.7만원
3인가구 133만원
4인가구 162만원
5인가구 189.9만원
6인가구 216.8만원

 

[의료급여/중위소득40%]

1인가구 83.1만원
2인가구 138.2만원
3인가구 177.4만원
4인가구 216만원
5인가구 253.2만원
6인가구 289.1만원

 

[주거급여/중위소득47%]

1인가구 97.6만원
2인가구 162.4만원
3인가구 221.7만원
4인가구 253.8만원
5인가구 297.5만원
6인가구 339.7만원

 

[교육급여/중위소득50%]

1인가구 103.8만원
2인가구 207.3만원
3인가구 266만원
4인가구 270만원
5인가구 316.5만원
6인가구 361.3만원

 

 

 

청년 지원금을 받기 위한 중위소득 체크

 

청년을 위한 지원금도 많아지고 있죠. 월세 지원, 전세금 지원, 자산 형성을 위한 다양한 계좌 개설을 위해서도 내 중위소득이 얼마인지 체크하셔야 합니다. 청년적금 올해는 청년도약계좌라는 이름으로 발급 신청을 받는다고 하는데요. 보통 150% 180% 기준으로 소득을 체크하니 이 부분도 한번 알아보고 갈게요!

 

 

[중위소득 150%]

1인가구 311.6만원
2인가구 518.4만원
3인가구 665.2만원
4인가구 810.1만원

 

[중위소득 180%]

1인가구 374만원
2인가구 622.1만원
3인가구 789.2만원
4인가구 972.1만원

 

 

 

 

내가 해당하는 구간의 중위소득이 얼마인지 확인하시고 받을 수 있는 지원금 똑똑하게 챙겨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2023년 중위소득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728x90
반응형